Post List

<시험검사기관>17025 란? 17020 이란?

<ISO IEC 17025 는 시험기관에서 준수해야할 품질관리 규정>

<ISO IEC 17020 은 검사기관에서 준수해야할 품질관리 규정>



우리나라는 과거의 저가형 제품의 다량생산을 넘어서 점점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해 가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변하게 된데에는 국내 기술발전과 더불어 품질관리 시스템의 발전도 한몫했다.


품질관리란 단순히 제품의 품질을 상승시키는것만이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상승시키는 일련의 모든 과정을 효율적으로 개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에는 품질관리, 품질보증 같은 용어를 사용하다가 최근에는 품질경영이라는 단어가 주로 쓰이고 있다.


여튼 그래서 국내 거의 모든 업체는 품질관리부서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자체 제품의 품질은 각자 업체가 보유한 품질부서에서 관리한다고 치고

고객입장에서 그 자체 품질 기준이 신뢰성이 있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예를들어

A회사는 저가의 금속을 사용하여 십자드라이버의 손잡이를 만들고

자체 품질부서에서 내구도를 시험한 결과 문제가 없어서 판매를 시작했고

B회사는 저가의 고무를 사용하여 십자드라이버의 손잡이를 만들고

자체 품질부서에서 내식성(부식방지 능력)을 시험한 결과 문제가 없어서 판매를 시작했다

하지만 소비자는 A 사의 십자드라이버를 쓸 경우 손의 땀으로 인한 내식을 걱정해야하고

B 사의 십자드라이버를 쓸 경우 내구도를 걱정해야하는 상황에 처한다

(예시일 뿐이니 깊이 들어가진 말자, 오류 투성이 예시니)


이처럼 소비자 혹은 사용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각 제품들은 다방면의, 규격화된 품질 기준이 필요하다.

이런 품질 기준들을 '산업표준' 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익히 들어보았을 KS(한국산업표준) 나, UL(북미, 전세계), CE(유럽, 전세계) 등이 있다.

이러한 표준에는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품질, 규격 가이드라인이 적혀져있고

제조사는 판매 혹은 수입을 위해서 요구되는 특정 표준들을 준수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런 표준들에는 단순한 가이드라인뿐만 아니라

표준에 표시된 가이드라인 항목을 어떻게 측정하는지, 판정하는지 시험방법까지도 적혀져 있는데

이런 표준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제품을 시험, 검사하는 일을 하는 업체들이 시험, 검사 기관이다.


그리고 이 시험기관이 산업표준을 보고 제조업체의 제품을 시험함에 있어 따라야할 품질관리 절차를 ISO IEC 17025 라 하며

검사기관이 산업표준을 보고 제품을 검사함에 있어 따라야할 품질관리 절차를 ISO IEC 17020 이라 한다.

(시험과 검사이 차이나 기타 시험, 검사에 관한 얘기는 다음번 포스팅에..)

ISO IEC 17025/20 이름에서도 알수있다시피

본 규격은 세계표준이며 전 세계에 적용되는 내용이다.

따라서 국내 역시 본 표준을 바탕으로 KS 만 적용하여 KS Q ISO IEC 17025/20 으로 모든 시험/검사 기관에 적용시키고 있다.

KS Q ISO IEC 17025 는 직원, 샘플관리, 교육, 서비스, 장비, 측정 등 시험/검사에 영향을 조금이라도 미칠 수 있는 모든 부분에 대해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있고, 따라서 해당 규정만 한권짜리 책이 나온다.

(17025에 대한 내용도 추후 포스팅)

댓글 없음:

댓글 쓰기